데이터 베이스
관계대수(절차적) / 관계해석(비절차적)
색인 순차 파일 - 별도의 공간이 필요,오버플로우 처리를 위한 공간 필요(공간 효율성 떨어짐)
제산법 : 나머지 연산자(%)를 이용해 주소로 사용
폴딩법 : 마지막을 제외하고 동일한 크기로 Key를 나눠 XOR 연산하여 주소로 사용
기수변환법 : Key값을 다른 진법으로 변환해 초과길이는 잘라 사용
숫자분석법 : 각 숫자의 분포를 이용해서 균등한 분포의 숫자를 선택해서 사용
스키마 -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제약조건에 관해 전반적인 명세를 기술한 것,데이터 엔티티, 속성, 관계와 데이터 조작에 대한 제약조건을 정의
큐 - fifo, 스택 - lifo
DDL,DML,DCL
트랜잭션 - (
원자성(Atomicity) : 트랜잭션의 포함된 오퍼레이션(작업)들은 모두 수행되거나, 아니면 전혀 수행되지 않아야 한다.
일관성(Consistency) : 트랜잭션이 성공적인 경우에는 일관성있는 상태에 있어야 한다.
독립성(Isolation) : 각 트랜잭션은 다른 트랜잭션과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것처럼 보여야 한다.
지속성(Durability) : 성공적으로 수행된 트랜잭션의 결과는 지속성이 있어야 한다.
순차성(Sequentiality):데이터를 다시 로드하고 트랜잭션을 재생하여 원래 트랜잭션이 수행된 후의 상태로 데이터를 되돌리는 것을 말합니다.)
선형 - 배열, 스택, 큐
비선형 - 트리, 그래프
힙 정렬(Heap sort) - 연산시간이 최악과 평균의 경우 모두 O(nlogn)으로 빠른 속도를 갖는 정렬법
선택 정렬/삽입 정렬
OLAP(0n-line analytical processing) - 온라인 분석처리
데이터베이스 설계 단계
시스템 카타로그 - 사용자가 직접 갱신하지 X
전자계산기
매핑함수 - 배정
DMA(direct memory access)
소프트웨어적인 방법 : 폴링
하드웨어적인 방법 : 데이지 체인
데이터 인터리빙
메모리에 접근빈도가 많아질수록 속도가 느려지며, 속도가 느려질수록 사용빈도는 낮아짐
멀티플렉서/디멀티플렉서 - selection line이 필요
그레이 코드 - XOR 연산 이용
운영체제
Thrashing : 가상 기억장치 시스템에서, 프로그램이 접근한 페이지나 세그먼트를 디스크에서 주기억장치로 올려놓기 위한 페이지틀림이 너무 자주 일어나 프로그램의 처리속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상태
레지스터 : Flip-Flop이나 Latch들을 병렬로 연결하여 구성한 것
데커 알고리즘 - (두 프로세스가 동시에 임계 영역에 들어가려고 할 때 하나만 들어가도록 한다.)
Coalescing(통합) - 단편화 해결방법
<교착상태의 필요 충분조건>
-상호 배재(Mutual exclusion)
-점유와 대기 (Hold and wait)
-비선점(Nonpreemption)
-환영대기 (Circular Wait)
로더의 기능 - (할당, 적재, 연결, 재배치)
<프로세스의 정의>
1.PCB를 가진 프로그램
2.비동기적 행위를 일으키는 주체
3.프로세서가 할당되는 실체
4.활동 중인 프로시저(Procedure)
데이터 통신
HDLC - high level link control
정보(I) 프레임 - 데이터 확인 응답,감독(S) 프레임 - 오류제어와 흐름 제어를 위해 사용, 비번호(U) 프레임 - 오류 회복을 수행
IPv4 - 유멀브, IPv6 - 유멀애,128비트
논리->물리 : ARP, 물리->논리 : RARP
10Base-5에서 전송속도 : 10, 한 세그먼트 최대 전송거리 : 500m
송신측 PCM과정 : 표본화->양자화->부호화
수신측 PCM과정 : 복호화->여파화 ........외우는 방법 <표.양.부.복.여>
축적교환방식 : 메시지교환,가상회선,데이터그램
라우팅 프로토콜
회선교환(circuit switching) -전용 통신로가있어야만 하고 그 통신로를 통해서만 교환할수있다(직진으로 연결되어있으면 직진으로만)
패킷교환(packet switching)-우회해서갈수가있어서 전용 통신로가 필요없다(직진하다가 우회전해도되고 좌회전해서 갈수도있음)
ATM헤더는 5옥텟, 유로부하는 48옥텟
1.데이터 링크 계층
- 흐름제어, 프레임의 동기화, 오류제어, 에러검출 및 정정, 순서제어(HDLC)
2.물리계층
- 매체간의 인터페이스:전기적,기능적,절차적 기능 정의(RS-232C)
3.응용계층
- 사용자가 OSI환경에 접근할수 있도록 서비스 제공
4.표현계층
- 코드변환, 구문검색, 암화화, 형식변환, 압축
SONET
검출 가능한 에러 개수=해밍거리-1
해밍거리 >= 2*(정정가능한 오류 개수)+1
HDLC 구조 - [Flag|주소부|제어부|정보부|FCS|Flag]
AM(진폭변조) : 신호의 높낮이를 변조
FM(주파수변조) : 신호의 주기를 변조
PM(위상변조) : 신호의 각도, 모양을 변조
모두 아날로그 -> 아날로그
'정보처리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17.03 정보처리기사 풀이 (0) | 2018.08.13 |
---|---|
2015.3 정보처리기사 풀이 (0) | 2018.08.12 |
2017.05 정보처리기사 풀이 (0) | 2018.08.09 |
2018.03 정보처리기사 풀이 (0) | 2018.08.05 |